사용자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단일 서버로 운영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많아지면 서버에 부하가 쉽게 가므로 위와 같은 시스템으로 설계해야한다. 각각의 컴포넌트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흐름도를 갖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웹이나 모바일)에서 API url을 통해 API를 호출한다. 이때, 가장 먼저 CDN을 통해 API url을 로드 벨랜서 ip로 바꿔 호출해 준다. 로드 밸랜서는 서버의 부하를 분산 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말한 단일 서버의 경우, 로드 밸랜서를 쓸 필요가 없다. 왜냐면 서버가 한개인데, 분산 시켜봤자 갈 곳은 한 곳 뿐이니까.로드 밸랜서가 각 서버와 private IP로 통신한다. 이런 면에서는 로드밸런서가 proxy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로드 밸런서가 task를 분..